[맛있는 우리말] 15회 : 알쏭달쏭 우리말<br /><br />다음 주면 둥글게 차오를 보름달만큼이나 마음이 풍성해지는 추석인데요.<br /><br />추석과 관련된 헷갈리는 우리말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첫 번째 문젭니다. 다음 중 '추석'을 뜻하는 말이 아닌 것을 골라보세요.<br /><br />① 한가위 ② 가윗날 ③ 대보름 ④ 중추절<br /><br />네, 정답은 '대보름'입니다.<br /><br />'한가위'는 추석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'가을의 가운데'를 의미하는데요. 가윗날과 중추절도 '추석'을 가리킵니다. 하지만 '대보름'은 음력 1월 15일, 정월 보름날을 가리키는 말로 추석과 관계가 없습니다.<br /><br />두 번째 문젭니다. 추석을 ( 쇠다 / 세다 ) 둘 중 뭐가 맞을까요?<br /><br />정답은 ① '쇠다'입니다.<br /><br />'쇠다'는 '명절, 생일, 기념일을 맞이하여 지낸다'는 의미로 '추석 잘 쇠십시오' '명절 잘 쇠세요'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으로 추석에 많이 주고받는 인사 살펴볼까요?<br /><br />즐거운 한가위 되세요. 행복한 명절 되세요.<br /><br />귀에 익은 인사지만 자세히 의미를 따져보면 잘못된 표현입니다.<br /><br />① 한가위 즐겁게 보내세요. ② 명절 행복하게 보내세요. 라고 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추석에 맛있는 음식 먹으며 헷갈리는 우리말 표현 알고 넘어가 보는 건 어떨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